본문 바로가기

국산차와 수입차, 보험료와 자동차세는 이렇게 다릅니다

물질 2025. 4. 1.

차를 사면 매년 고정으로 들어가는 비용이 보험료와 자동차세입니다.
이건 차 가격이 아니라 차종, 연식, 배기량, 운전 경력 등에 따라 정해지기 때문에
겉으로 비슷해 보여도 실제 납부액은 꽤 차이가 날 수 있어요.


1. 보험료는 수입차가 훨씬 비쌉니다

  • 차량 가격이 높고 수리비가 많이 드는 수입차는 보험사 입장에서도 ‘위험 부담’이 큽니다.
  • 그래서 같은 나이, 같은 조건이라도 수입차 보험료는 1.5배~2배 이상 더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히 자차 보험료에서 차이가 확실히 납니다.
  • 수입차는 부품 값도 비싸고 공임도 높아서, 사고 한 번만 나도 보험금 지출이 크거든요.

예시

  • 국산 중형차: 20대 기준 연 80~100만 원
  • 수입 준중형차: 연 150만 원 이상도 나올 수 있음

2. 자동차세는 ‘배기량’이 핵심

  •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배기량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 국산차나 수입차나 똑같은 기준이 적용되지만,
    수입차는 고배기량 모델이 많은 편이라 세금이 더 많이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시

  • 국산 1.6L 차량: 약 30만 원대/년
  • 수입 2.0L 차량: 약 52만 원대/년
  • 수입 3.0L 이상: 70만 원 이상도 가능

3. 하이브리드·전기차는 혜택이 크다

  • 국산차 쪽은 하이브리드나 전기차 라인업이 많고, 세제 혜택이 적용됩니다.
  • 자동차세, 취등록세 감면, 공영주차장 할인, 혼잡통행료 면제 등 여러 가지 실속 혜택이 있어요.
  • 수입차는 전기차도 있지만 가격이 높고, 혜택 대상이 한정적인 경우가 많습니다.

4. 운전 경력, 사고 이력도 변수

  • 초보 운전자나 사고 경력이 있는 분들은 보험료가 더 올라가는데요,
    수입차의 경우 이 조건이 더 민감하게 반영됩니다.
  • 반대로 운전 경력이 오래된 경우 국산차 보험료는 큰 폭으로 낮아지지만,
    수입차는 그래도 기본료 자체가 높아서 큰 차이가 유지됩니다.

정리하자면

  • 보험료는 수입차가 훨씬 비쌉니다. 특히 자차 가입 시 차이가 큽니다.
  • 자동차세는 배기량 따라 다르지만, 수입차가 평균적으로 더 높은 편입니다.
  • 전기차/하이브리드 혜택은 국산차가 더 유리합니다.
  • 운전 경력이 짧은 분이라면 수입차 보험료는 진입장벽이 꽤 높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