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오일 누유 자가 진단 방법

물질 2025. 4. 6.

"차 밑에 뭐가 떨어져 있네?"
그럴 땐 당황하지 마시고, 딱 5가지 항목만 확인해보세요.
이 정도만 살펴봐도 정비소 가기 전, 대략적인 상태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1. 차량 바닥에 얼룩 있는지 확인하기

  • 주차한 자리에 기름 같은 자국이 남아 있는지 먼저 확인하세요.
  • 특히 하룻밤 이상 주차한 뒤 보면 더 확실합니다.
  • 오일 자국이 갈색, 붉은색, 진한 색이면 오일 누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깨끗한 물자국처럼 보이면 단순 결로수일 수 있습니다.

Tip: 자주 주차하는 자리에 신문지나 흰 종이를 깔아보면 어떤 색 액체가 떨어지는지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2. 오일량 확인하기 (딥스틱 확인)

  • 보닛을 열고 **엔진오일 게이지(딥스틱)**를 뽑아 확인해보세요.
  • 오일 눈금이 LOW나 MIN 아래로 내려가 있으면, 누유가 의심됩니다.
  • 오일색이 너무 탁하거나 검정에 가까운 것도 점검 시기라는 신호입니다.

주의: 평평한 곳에 차량을 세우고, 시동을 끈 지 5~10분 후에 확인하는 게 가장 정확합니다.


3. 냄새나 연기 나는지 체크하기

  • 엔진룸 근처에서 탄 냄새나 오일 타는 냄새가 나는지 확인해보세요.
  • 특히 고속주행 후, 보닛에서 하얀 연기매캐한 냄새가 나면 누유로 인한 열 발생일 수 있습니다.
  • 누유된 오일이 뜨거운 부품에 닿으면 냄새가 금방 납니다.

4. 계기판 경고등 확인하기

  • 엔진오일 경고등이나 체크엔진 경고등이 들어와 있다면, 오일 부족 가능성 있습니다.
  • 일부 차량은 오일압력 경고등으로도 표시되는데, 이건 오일 순환에 문제가 생겼다는 뜻이니 빠르게 점검이 필요합니다.

5. 엔진룸과 하부 육안 점검

  • 보닛을 열고 엔진 주변을 살펴보면 오일이 흘러내린 흔적이 있는지 보입니다.
  • 엔진 옆면이 검게 번들거리거나 먼지가 끈적이게 붙어 있으면 누유 가능성 높습니다.
  • 하부 커버(언더커버)를 보면 오일이 고여 있는 경우도 있으니, 가능한 경우 하부도 한번 확인해보세요.

간단 정리

  • 바닥 자국 → 색/양 확인
  • 오일량 → 딥스틱으로 LOW 이하인지
  • 냄새/연기 → 타는 냄새나 연기 발생 여부
  • 경고등 → 엔진오일 또는 체크엔진등
  • 엔진 주변 상태 → 기름기 흐름이나 끈적한 먼지 확인

이 정도만 확인해도, “정비소를 바로 가야 하는지” 혹은 “지켜보다 가도 되는지” 감이 옵니다.
단, 육안으로 잘 안 보인다고 해서 문제가 없다고 단정하는 건 위험하니, 의심되면 꼭 전문가 점검을 받으시는 게 좋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