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세는 어떻게 계산될까? 과세 기준 정리해드립니다

물질 2025. 5. 13.

자동차세는 그냥 ‘차가 있으니까 내는 세금’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사실 배기량, 차종, 연식, 에너지 종류에 따라 꽤 정확하게 계산됩니다.
그래서 같은 연식 차량이라도 배기량 100cc 차이로 몇만 원씩 차이날 수 있고,
하이브리드나 전기차는 감면 대상이 되기도 하죠.


1. 승용차는 배기량 기준으로 계산

  • 일반 승용차의 자동차세는 기본적으로
    **배기량(1cc당 세율 적용)**을 기준으로 계산돼요.
  • 여기에 교육세(30%)가 별도로 더해지기 때문에,
    실제로는 단순 계산보다 조금 더 높게 나옵니다.

예시로 보면 이런 식이에요:

배기량자동차세 (연간)교육세 포함 합계(대략)
1,000cc 약 80,000원 약 104,000원
1,600cc 약 160,000원 약 208,000원
2,000cc 약 200,000원 약 260,000원
3,000cc 약 300,000원 약 390,000원

※ 1cc당 기본세율은 1,600cc 이하는 80원, 초과 시 200원 적용


2. 차량 연식이 오래될수록 세금은 조금 줄어듭니다

  • 등록 후 3년 차부터 매년 5%씩 감면이 들어가고,
    최대 50%까지 감면됩니다.
  • 예를 들어 10년 이상 된 차량은 같은 배기량이라도 절반 가까이 줄어든 세금이 나올 수 있어요.

3. 하이브리드, 전기차는 감면 대상

  • 하이브리드 차량:
    자동차세 감면(보통 연 4만 원 한도), 취득세 감면도 병행됨
    (단, 신청해야 적용되며 2024년부턴 점점 줄어드는 추세)
  • 전기차·수소차: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자동차세 100% 감면 또는 고정금액만 부과
    (예: 전기차 연간 자동차세 약 13만 원 수준)

4. 승합차, 화물차, 경차는 별도 기준 적용

차종과세 기준
경차 배기량 1,000cc 이하 / 연 50,000원 + 교육세
화물차 톤 수 기준 (톤당 일정 세율)
승합차 좌석 수 기준(대형, 소형)

5. 과세 기준에 따라 달라지는 실질 체감

  • 배기량 1,580cc와 1,620cc 차량의 세금이 확 차이 나는 이유는
    1,600cc 초과부터 1cc당 세율이 80원 → 200원으로 급등하기 때문이에요.
  • 그래서 1,599cc 차를 선호하는 이유가 이 때문이기도 하죠.
  • 경차는 세금 감면 외에도 보험료, 고속도로 할인 등 혜택이 많아 유지비가 훨씬 적습니다.

간단 정리

기준 항목내용 요약
승용차 과세 기준 배기량(cc) 기준, 1cc당 80원~200원 + 교육세
연식 할인 3년차부터 매년 5% 감면, 최대 50%까지 가능
하이브리드 감면 신청 시 연 4만 원 한도 감면 (지자체별 상이)
전기차 감면 대부분 100% 감면 또는 고정세금 (약 13만 원 전후)
기타 차종 기준 경차/승합/화물은 별도 기준 적용

마무리 조언

  • 자동차세는 단순히 차량이 크냐 작냐보다, 배기량과 등록 연도를 중심으로 계산됩니다.
  • 차량을 구매하거나 바꿀 계획이 있다면,
    배기량 1,600cc를 기준으로 세금 차이가 크게 갈린다는 점 기억해두시면 좋아요.
  • 전기차나 경차는 세금뿐 아니라 장기적으로 유지비도 절약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차량 선택 시 참고하실 만한 요소가 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