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활용 안 되는 플라스틱, 이건 그냥 일반쓰레기예요

물질 2025. 6. 2.

플라스틱은 다 재활용될 것 같죠?
그런데 생각보다 재활용이 안 되는 플라스틱이 정말 많습니다.
분명히 플라스틱인데도 재질이 복잡하거나, 오염되기 쉬운 경우엔 재활용이 안 되는 거예요.

이번 글에서는 헷갈리는 플라스틱류 중 재활용이 불가능한 것들
종류별로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이건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되겠다!" 하고 판단할 수 있게 도와드릴게요.


1. 포장 용기 ‘뚜껑’류 – 재질이 다르면 대부분 일반쓰레기

  • 플라스틱 용기 본체는 재활용이 되더라도,
    뚜껑은 재질이 다르고, 작고 복잡해서 재활용이 어려워요
  • 특히 샴푸 펌프, 소스 뚜껑, 과자통 뚜껑은 복합 플라스틱이나 고무, 금속이 섞여 있음

가능하면 본체와 뚜껑 분리하고, 뚜껑은 일반쓰레기로 처리하세요


2. PVC, 유색 플라스틱 – 대부분 재활용 불가

  • 투명한 PET(생수병 등)은 재활용되지만,
    색이 있는 플라스틱은 품질이 낮아져 재활용이 거의 안 됩니다
  • 특히 **PVC(플라스틱 랩, 일부 장난감, 고무질 재질 등)**는
    독성 문제로 재활용에서 제외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색 있는 병, 화장품 용기, 문구류는 일반쓰레기로


3. 일회용 숟가락, 포크, 빨대 – 작고 오염되기 쉬움

  • 일회용 숟가락이나 포크, 빨대는 플라스틱이긴 해도
    재활용 설비에서 분류하기 어려운 작은 크기라서 대부분 폐기됩니다
  • 게다가 음식물이 묻는 경우가 많아서 오염 가능성도 높아요

사용 후 세척 어렵다면 일반쓰레기로 버리는 게 맞습니다


4. 발포 스티로폼 – 상태에 따라 다름 (오염되면 재활용 불가)

  • 흰색 스티로폼 트레이나 포장재는 깨끗하고 부피가 클 경우 재활용 가능
  • 하지만 이물질 묻어있거나, 작게 부서진 상태, 색이 있는 스티로폼은 재활용 불가예요

음식물이 묻은 스티로폼은 반드시 일반쓰레기로


5. 재질 확인 어려운 복합 플라스틱 (예: 장난감, 문구류)

  • 장난감, 플라스틱 파일, CD 케이스 등은
    여러 재질이 붙어 있거나, 분리하기 어려워서 재활용이 안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특히 고무나 금속, 스티커, 페인트가 섞인 제품
    분리배출 대상이 아니라 그냥 폐기물로 처리해야 합니다

요약 정리표

품목재활용 여부이유
플라스틱 뚜껑 (펌프, 뚜껑) ❌ 일반쓰레기 복합재질, 작고 분리 어려움
유색 플라스틱 ❌ 대부분 불가 품질 저하, 재활용률 낮음
일회용 숟가락, 빨대 작고 오염되기 쉬움
오염된 스티로폼 음식물 등 이물질 문제
장난감, 문구류 복합재질, 구조 복잡

참고 팁

  • 플라스틱에도 바닥에 **재질 표시(삼각형 숫자)**가 있어요
    1번(PET), 2번(HDPE), 5번(PP)은 비교적 재활용 잘 되는 편
    3번(PVC), 6번(PS), 7번(기타)은 재활용 어려움
  • 하지만 실제로는 재질보다 오염도와 크기, 분리 가능 여부가 더 중요합니다

마무리 정리

모든 플라스틱이 재활용되는 건 아닙니다.
특히 작고 복잡하거나, 오염되기 쉬운 플라스틱은 그냥 일반쓰레기가 맞습니다.

“이게 플라스틱이니까 재활용되겠지?”라고 생각하기보다
재질, 상태, 오염 정도를 꼭 확인하고 분리수거해 주세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