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람석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감람석의 형성과 주요 산지

물질 2025. 3. 18.

감람석(Olivine)은 지구 맨틀에서 형성되는 독특한 광물입니다.
화산이 폭발할 때 용암과 함께 올라오거나, 지각 변동으로 깊은 곳의 암석이 노출되면서 발견되죠.

어떤 환경에서 감람석이 만들어지는지, 그리고 어디에서 많이 발견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1. 감람석은 어디에서 만들어질까?

감람석은 초염기성(ultramafic) 환경 에서 형성됩니다.
쉽게 말하면, 지구 깊은 곳에서 높은 온도와 압력 속에서 만들어진다는 뜻입니다.

✔ 감람석이 형성되는 대표적인 환경

  • 지구 맨틀 속 초고온·고압 환경
  • 화산 활동으로 용암이 분출될 때
  • 지질 변동으로 맨틀 조각이 지표로 노출될 때

이 때문에 감람석은 대륙보다 해양지각(바다 아래)에서 더 많이 발견됩니다.


2. 감람석이 많이 나오는 곳은?

감람석은 전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견되지만, 특히 화산 활동이 활발한 곳 에서 쉽게 볼 수 있습니다.

세계 주요 감람석 산지

  • 하와이 → 화산 용암 속에서 감람석이 많이 발견됨
  • 미국 애리조나 → 보석급 감람석(페리도트)의 주요 산지
  • 미얀마 & 파키스탄 → 고품질 페리도트 생산지
  • 중국, 노르웨이, 그린란드 → 감람석이 포함된 초염기성 암석 발견

우리나라에서는?
우리나라에서도 감람석이 소량 발견된 적이 있습니다.

  • 제주도 화산암 지대 → 용암 속에 감람석이 포함된 사례 보고
  • 경북 포항, 울릉도 → 초염기성 암석 지대에서 감람석이 검출됨

하지만 경제적으로 채굴할 정도로 풍부한 양은 아닙니다.


3. 감람석이 지표로 올라오는 과정

지구 맨틀 깊숙한 곳에서 만들어진 감람석은 그냥 있는 것이 아니라,
화산 활동이나 지각 변동을 통해 지표로 이동 하게 됩니다.

✔ 감람석이 지표로 올라오는 대표적인 과정
1️⃣ 화산 분출 → 용암 속에 감람석이 포함되어 지표로 올라옴
2️⃣ 지질 변동 → 맨틀 조각이 융기하면서 감람석이 포함된 암석이 노출됨
3️⃣ 운반 & 침식 → 강이나 바람이 감람석을 운반하면서 특정 지역에 쌓일 수도 있음

특히 화산이 폭발하면서 감람석이 포함된 용암이 분출될 때,
운이 좋으면 용암이 굳은 후 감람석 결정이 그대로 보존되기도 합니다.


마무리

감람석은 단순한 녹색 돌이 아니라, 지구 깊은 곳에서 올라온 맨틀의 조각 입니다.

  • 초염기성 환경에서 형성되며, 높은 온도와 압력이 필요
  • 화산 분출, 지질 변동을 통해 지표로 올라옴
  • 하와이, 미얀마, 애리조나 등에서 많이 발견됨
  •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포항, 울릉도 등 일부 지역에서 소량 발견됨

지금 우리가 볼 수 있는 감람석은 수백만 년, 심지어 수억 년 전에 만들어진 것일 수도 있겠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