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규소와 규소 화합물, 뭐가 다를까?

물질 2025. 4. 29.

실리콘(Silicon), 실리카(Silica), 실리콘오일, 실리콘겔…
비슷비슷한 단어들인데, 쓰임새도 제각각이라 혼란스러우셨죠?

이 글에서는 ‘규소’라는 원소와, 거기서 파생된 다양한 화합물들
어떻게 다르고, 각각 어디에 쓰이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규소(Silicon)는 ‘원소’입니다

  • 주기율표에서 원자번호 14번, 이름은 **‘규소’**입니다.
  • 지구 지각에서 산소 다음으로 많은 원소고,
    모래, 암석, 석영 등 대부분은 이 규소가 주성분이에요.
  • 자연에서는 순수한 규소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고,
    보통은 산소나 다른 원소랑 붙어 있는 형태로 발견됩니다.

2. 규소 화합물은 규소가 다른 원소랑 결합한 것

규소 혼자 있는 게 아니라, 다른 원소랑 결합한 형태
규소 화합물’이라고 부릅니다. 종류는 다양하지만, 아래가 대표적입니다.


(1) 실리카(Silica, 이산화규소, SiO₂)

  • 모래, 석영, 유리의 주성분입니다.
  • 우리가 흔히 보는 투명한 유리는 대부분 이 실리카로 만들어집니다.
  • 화장품, 영양제에도 ‘실리카’로 표시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실리콘(Silicone)

  • 규소와 산소, 탄소, 수소 등이 복잡하게 결합된 고분자 화합물입니다.
  • 고무처럼 말랑하면서도 내열성과 내구성이 좋아서
    다양한 제품에 쓰이죠.

주요 쓰임새:

  • 주방용품 (실리콘 찜기, 주걱 등)
  • 의료용품 (보형물, 인공 관절 등)
  • 건축용 실란트, 접착제
  • 전자제품 방수·절연 재료

※ 실리콘(Silicone)과 실리콘(Silicon)은 스펠링이 한 글자 다르지만,
의미는 전혀 다릅니다!


(3) 실레인(Silane, SiH₄)

  • 규소와 수소가 결합한 기체 형태
  • 산업용 반도체 제조 공정에서 박막 증착용 가스로 쓰입니다.
  • 일반인보단 반도체·디스플레이 기술자들이 자주 다루는 물질입니다.

3. 쉽게 비교해볼까요?

이름분류주성분주요 쓰임
규소 (Silicon) 원소 Si 반도체, 태양광 셀
실리카 (Silica) 화합물 SiO₂ 유리, 석영, 화장품, 건강기능식품
실리콘 (Silicone) 고분자 화합물 Si + 산소 + 유기물 주방용품, 의료기기, 실란트
실레인 (Silane) 기체 화합물 SiH₄ 반도체 박막 형성용

이 표만 봐도 어떤 게 어디에 쓰이는지 한눈에 정리되죠?


마무리하며

정리하자면, ‘규소’는 원소,
그걸 바탕으로 만들어진 ‘실리카’, ‘실리콘’, ‘실레인’은 화합물입니다.

비슷한 이름 때문에 많이들 헷갈리시지만,
쓰이는 분야와 형태는 전혀 다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