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코발트 없는 배터리 가능할까? 대체 기술과 현실 이야기

물질 2025. 5. 2.

요즘 전기차나 스마트폰 관련 기사 보면
“코발트 프리 배터리”라는 말을 자주 보셨을 거예요.

배터리에는 왜 코발트를 써야 하는지,
또 코발트를 안 쓰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그리고 정말 코발트를 빼고도 쓸만한 배터리를 만들 수 있는지
많이들 궁금해하시죠.

이번 글에선 그 질문에 대해 쉽고 현실적으로 정리해드릴게요.


1. 왜 배터리에 코발트가 들어갈까?

  • 코발트는 리튬이온 배터리의 양극재에 사용돼요.
  • 역할은 크게 두 가지:
    • 배터리 안정성 높이기 (발열 줄이고 수명 늘림)
    • 에너지 밀도 개선 (같은 무게에 더 많은 전력 저장 가능)
  • 대표적으로 NCM(Nickel-Cobalt-Manganese),
    NCA(Nickel-Cobalt-Aluminum) 배터리에서 쓰입니다.

2. 하지만 코발트는 단점도 많습니다

  • 가격이 비쌉니다: 희귀하고 채굴량이 제한돼 있어 원가 부담이 큽니다.
  • 윤리적 문제: 주산지인 콩고민주공화국에서는
    아동 노동과 열악한 작업환경 이슈가 끊이지 않아요.
  • 공급 불안정: 전 세계 특정 지역에 편중돼 있어서 수급 리스크도 존재합니다.

→ 그래서 기업과 연구기관들은
코발트를 줄이거나 아예 없는 배터리 개발에 뛰어들고 있는 거예요.


3. 코발트 없는 배터리, 대표 기술은?

LFP 배터리 (리튬인산철)

  • 코발트가 전혀 들어가지 않는 대표적인 대안입니다.
  • 장점:
    • 가격이 저렴하고,
    • 안정성도 뛰어남,
    • 수명도 긴 편
  • 단점:
    • 에너지 밀도가 낮아 주행거리나 휴대성은 살짝 아쉬움

→ 그래서 중국 전기차, 보급형 차량, 에너지 저장장치(ESS) 등에 많이 쓰이고 있어요.


코발트 저감형 NCM 배터리

  • 아예 코발트를 빼기보다는 사용량을 줄이는 방식도 있어요.
  • 예: NCM811 (니켈 80%, 코발트 10%, 망간 10%)
  • 코발트 대신 니켈 함량을 높여 성능을 유지합니다.
  • 단점은 안정성이 약간 떨어질 수 있어서
    안전 기술이 함께 적용돼야 한다는 점이에요.

4. 현실적으로는 ‘완전한 대체’보다 ‘다양한 선택지’가 중요한 상황

  • 코발트를 완전히 뺄 수는 있지만,
    배터리의 성능, 가격, 용도에 따라 장단점이 나뉘기 때문에
    하나의 기술로 모든 걸 해결하긴 어렵습니다.
배터리 유형코발트 포함 여부장점단점
NCM/NCA 있음 고에너지 밀도, 성능 우수 가격 높고 윤리 이슈
LFP 없음 안전하고 저렴 에너지 밀도 낮음
NCM 저코발트형 거의 없음 성능·가격 균형 안정성 관리 필요

5. 주요 기업들의 흐름은?

  • 테슬라: 중국 생산 차량에 LFP 배터리 채택 확대
  • BYD, CATL(중국): LFP 기술에 집중
  • 삼성SDI, LG에너지솔루션: 코발트 저감형 NCM 배터리 중심
  • 스타트업들: 코발트 프리 + 고에너지 신소재 개발 중 (예: 실리콘 음극, 전고체 등)

마무리하며

코발트를 빼고도 배터리는 충분히 만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용도와 목적에 따라 어떤 배터리가 더 적합한지는 다를 수 있어요.
그래서 요즘은 “코발트 프리냐 아니냐”보다,
“어디에 어떻게 쓸 건데?”에 따라 배터리를 나눠 쓰는 흐름입니다.

앞으로 기술이 발전할수록
더 저렴하고, 더 안전하면서, 코발트까지 덜 쓰는 배터리
더 많이 등장할 거예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