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누유, 정비소 가기 전에 이렇게 확인해보세요

물질 2025. 5. 13.

주차장 바닥에 이상한 자국이 있거나,
주행 중 타는 냄새가 났을 때
“혹시 오일이 새는 건가?” 하고 걱정되셨다면
아래 항목들을 직접 확인해보세요.

누유는 냄새, 색깔, 위치만으로도 어느 정도 파악이 가능합니다.


1. 바닥에 신문지나 흰 종이 한 장 깔아보기

  • 차량 주차 후, 전면부 바닥에 종이 한 장을 깔고
    하루 정도 지나고 나서 오염 여부 확인
  • 색과 자국 모양을 통해 어떤 오일인지 유추 가능

자국 색상별로 보면 이렇게 나뉩니다:

  • 검정/갈색: 엔진오일 가능성
  • 붉은색/자주색: 미션오일(자동변속기)
  • 형광 연두, 핑크, 파랑 등: 냉각수(부동액)
  • 투명하고 미끈미끈함: 브레이크 오일
  • 맑은 물처럼 보이고 냄새 없음: 에어컨 응축수 (정상)

2. 냄새도 단서가 됩니다

  • 탄내 또는 기름 냄새: 엔진오일 누유가 열 받아 타는 중
  • 달콤하고 톡 쏘는 냄새: 냉각수(부동액)
  • 약간 알코올 느낌: 브레이크 오일
  • 화학 냄새 강함: 미션오일

→ 냄새가 차 안까지 들어온다면, 엔진룸 근처에서 새고 있을 가능성이 큽니다.


3. 주로 새는 위치 확인하기

  • 운전석 쪽 앞바퀴 근처 → 엔진오일, 브레이크 오일
  • 차량 정중앙 아래 → 미션오일, 연료 라인
  • 조수석 앞바퀴 근처 → 냉각수, 에어컨 응축수
  • 바퀴 뒤쪽 바닥 → 브레이크 오일 누유 가능성

→ 위치만 봐도 어느 부위에서 새고 있는지 대략적인 짐작이 가능합니다.


4. 엔진룸 안쪽 눈으로 점검해보기

  • 보닛을 열고 엔진 주변, 오일캡, 오일필터 주변에 기름 묻음 있는지 확인
  • 엔진오일 딥스틱 뽑아서 오일 양 확인 – 눈금 아래면 누유 의심
  • 냉각수 탱크나 브레이크 오일 탱크 주변도 확인 (액체 넘침, 젖음 여부)

오일캡 주변에 눌러붙은 찌꺼기가 있다면
오래 전부터 새고 있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5. 최근 정비 내역이 있다면 점검 포인트

  • 오일 교환 후 얼마 안 됐는데 누유가 생겼다면
    필터나 드레인 플러그 조임 불량 가능성 있음
  • 수리 직후 갑자기 바닥에 오일 생겼다면
    정비 중 손상되거나 누락된 부위일 수 있으니 해당 정비소에 문의 필요

이렇게 정리해두면 정비소에서 설명하기 쉬워집니다

  • 언제부터 누유가 시작됐는지
  • 주행 중에도 냄새가 나는지
  • 바닥 자국의 위치와 색상
  • 주행 성능에 이상이 있는지 여부

→ 이 정보들만 잘 정리해두셔도 정비소에서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받는 데 도움이 됩니다.


마무리 조언

누유는 대부분 초기에만 잘 발견해도 큰 문제 없이 처리할 수 있는 고장입니다.
단, 방치하면 엔진 손상이나 브레이크 고장 같은 중대한 사고로 이어질 수 있으니
자국이 반복되거나 오일양이 줄어든 게 확인되면
지체 없이 정비소 점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