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차량 하체 부식 수리비용과 보험 적용, 알아두면 좋습니다

물질 2025. 5. 6.

차 밑을 보다가 녹슨 부분을 발견하면
“이거 그냥 놔둬도 되나? 고치면 얼마나 나올까?” 하는 생각,
아마 대부분 운전자분들이 해보셨을 겁니다.

특히 오래된 차나 겨울철 제설제 많이 맞은 차량은
하체 부식이 한 번 생기면 은근히 비용이 크게 들어가는 문제로 이어질 수 있어요.


1. 하체 부식 수리, 어느 부위냐에 따라 천차만별

하체는 여러 부품으로 나뉘어 있어서
어디가 부식됐느냐에 따라 수리 비용 차이가 큽니다.

수리 부위대략적인 비용 (정비소 기준)
머플러·배기 파이프 교체 10만 ~ 30만 원
서스펜션 암·로어암 교체 20만 ~ 50만 원
브레이크 라인 교체 30만 ~ 70만 원 (차종에 따라 상이)
차체 하부 프레임 용접·보강 50만 원 이상, 경우에 따라 수백만 원까지
부식 제거 + 언더코팅 재시공 15만 ~ 40만 원 (상태 따라 차이)

※ 차량 브랜드, 연식, 수입차 여부에 따라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2. 전체 교체보다 '녹 제거 + 도포'로 끝나면 저렴

  • 녹이 겉면에만 살짝 있는 상태라면, 샌딩(연마) 후 방청제를 도포하고 마무리하는 방식으로도 해결 가능합니다.
  • 이 경우 비용은 5만 ~ 15만 원 선으로 비교적 저렴하게 끝날 수 있어요.
  • 단, 부품 자체가 약해졌거나 구멍이 생긴 경우엔 부품 교체밖에 방법이 없습니다.

3. 하체 부식, 자차 보험으로는 대부분 보상 안 됩니다

  • 많은 분들이 묻는 질문 중 하나예요.
    “이거 자차 보험 처리 안 되나요?”
    아쉽게도 차량 부식은 ‘자연적 노후·마모’에 해당하기 때문에 보험 보상이 어렵습니다.

예외적으로 보험 적용 가능한 경우는 아주 제한적이에요:

  • 사고로 인해 하체에 손상이 생기고
  • 그로 인해 부식이 빠르게 진행된 경우
  • 사고 후 일정 기간 내에 정비소에서 관련 진단을 받았을 경우
    → 이런 경우는 보험사와 협의해 일부 보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단, 단순 녹 발생이나 제설제 영향 같은 건 보험 적용 불가입니다.


4. 수리 전 상태 점검과 견적 비교 꼭 하세요

  • 부식 수리는 정비소마다 진단 방식과 수리 제안이 다를 수 있습니다.
  • 어디는 샌딩+코팅만 권하고, 어디는 부품 교체까지 추천하는 경우도 있어요.
  • 되도록이면 부식 상태를 사진으로 찍고, 2곳 이상 견적을 받아보는 걸 추천드립니다.

5. 중고차 거래 전에도 꼭 체크해야 할 항목

  • 중고차 구입 전 하체 부식이 있으면 차값은 싸지만, 수리비가 훨씬 비쌀 수 있습니다.
  • 특히 하부 프레임에 부식이 있으면 검사 불합격으로 이어질 수 있으니
    차량 구매 전에 카센터에서 하체 상태 점검은 필수입니다.

간단 정리

항목요약 설명
수리비용 간단한 녹 제거는 저렴, 부품 교체 시 수십만 원 이상 가능
보험 적용 여부 일반 부식은 불가, 사고 관련 시 예외적으로 협의 가능
수리 난이도·방식 차이 정비소마다 제안 다르므로 견적 비교 권장
중고차 거래 시 확인 필수 하체 부식은 차량 가치, 검사 통과 여부에도 직접적 영향 있음

마무리 조언

  • 하체 부식은 눈에 안 띄는 사이에 심각해지는 대표적인 고장 유형입니다.
  • 수리비가 생각보다 클 수 있기 때문에, 초기 발견 → 조기 대응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 보험 처리는 거의 어렵기 때문에, 예방 관리가 최고의 절약이에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