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등록비용, 얼마나 들까요?
차를 사기로 마음먹고 계약서 쓰기 직전까지는
“이제 끝인가 보다” 싶은데,
막상 등록 단계에 들어가면 차값 말고도 들어가는 돈이 꽤 됩니다.
세금, 공채, 번호판 비용까지 생각보다 복잡하죠.
그래서 오늘은 신차 등록할 때 드는 비용 항목들을
하나씩 정리해서 알려드릴게요.
계산은 어렵지 않으니, 기본 개념만 잡아두시면 됩니다.
1. 취득세 (가장 큰 비중)
- 차량 가격의 약 7% 정도입니다
- 승용차 기준으로 계산되고, 세금 중 가장 큰 항목이에요
예시
차량 가격이 3,000만 원이면 → 취득세는 약 210만 원 정도 나옵니다
참고
친환경차(하이브리드, 전기차)는 취득세 일부 감면이 적용됩니다
지자체별로 차이가 있으니 미리 확인하시는 게 좋아요
2. 공채 매입 비용 (지방채)
- 지방자치단체 재정 마련용으로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공채입니다
- 차량 가격, 지역에 따라 다르고,
매입 후 바로 할인된 금액으로 매도 가능해서 실제 부담은 줄어듭니다
예시
서울 기준으로 약 3,000만 원 차량이면 → 공채 매입가 160만 원,
→ 매도 후 실제 부담은 약 40만 원 내외
참고
공채 할인율은 매일 변동되기 때문에 정확한 금액은 등록 당일 확인됩니다
3. 번호판 및 등록증 발급 비용
- 일반 번호판 기준: 약 3만~5만 원
- 전기차 전용 번호판이나 선택형 디자인 번호판은 약간 더 나올 수 있어요
- 자동차 등록증 발급 비용도 포함해서 소소하게 들어갑니다
4. 대행 수수료 (대행 시)
- 직접 등록하지 않고 딜러나 전문업체에 대행을 맡기면 수수료가 붙습니다
- 보통 10만 원~20만 원 선이며, 업체마다 조금씩 차이 있어요
팁:
직접 하시면 이 비용은 아낄 수 있지만, 시간과 절차가 번거로울 수 있습니다
5. 기타 선택 비용
- 자동차세 선납: 원할 경우 미리 1년치 납부 가능 (세액 공제 있음)
- 하이패스, 블랙박스 등 옵션 추가 설치비용
- 탁송비: 차량을 집까지 보내달라고 하면 별도 청구됩니다
신차 등록비용 요약 정리
항목금액 기준 (3천만 원 차량 예시)
취득세 | 약 210만 원 |
공채 매입 | 약 160만 원 (실부담 약 40만 원) |
번호판·등록증 발급 | 3만~5만 원 |
대행 수수료 (선택) | 10만~20만 원 |
기타 옵션/부가비용 | 상황에 따라 다름 |
총합 예시 (대행 포함 시)
→ 약 260만~280만 원 정도 예상하시면 됩니다
마무리 정리
신차 등록 비용은 차량 가격의 약 8~10% 수준이라고 생각하시면 계산이 편합니다.
세금과 공채 비중이 크기 때문에, 미리 예산에 넣어두시는 게 좋습니다.
요점 정리
- 취득세는 차값의 약 7%
- 공채는 지역별 차이 + 할인 매도 가능
- 번호판·등록증은 소액
- 대행 시 수수료 10만~20만 원
- 친환경차는 세금 감면 여부 꼭 확인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기차로 장거리 운전, 진짜 가능할까? (0) | 2025.04.04 |
---|---|
하이브리드 차량, 기름값 얼마나 아끼는 걸까요? (0) | 2025.04.04 |
자동차 브랜드별 고장률과 수리비, 진짜 차이 많이 날까? (0) | 2025.04.04 |
블랙박스 추천, 어떤 제품이 좋을까? (0) | 2025.04.04 |
침수차 수리비, 어디까지 손상됐느냐에 따라 천차만별입니다 (0) | 2025.04.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