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충전요금, 완속이랑 급속 얼마나 차이 날까요?
전기차를 처음 알아보면 가장 궁금한 게 이거예요.
“기름값 대신 충전비는 얼마나 나오지?”
“완속 충전이 싸다던데 진짜 얼마 차이나요?”
요즘은 충전소도 많고 요금 체계도 꽤 다양해서,
기본 구조만 알아두면 충전요금 대충 감이 잡힙니다.
이번 글에서는 완속 vs 급속 충전 요금 차이를 중심으로,
1회 충전비는 얼마나 드는지,
주행거리 기준으로 비교하면 어떤지까지 정리해드릴게요.
1. 전기차 충전요금은 kWh 단위로 계산됩니다
- 전기차는 기름 리터 대신 kWh(킬로와트시) 단위로 충전해요
- 차량 배터리 용량이 50~80kWh 정도면,
충전소에서는 kWh당 얼마인지 × 충전한 전력량으로 요금이 계산됩니다
2. 급속 충전 요금은 보통 kWh당 280~350원
- 급속 충전은 30~60분 내 충전 가능하지만 요금은 조금 비쌉니다
- 평균적으로 kWh당 300원대 초반이라고 보면 돼요
예시 (60kWh 배터리 기준)
- 80% 충전 시 약 48kWh → 약 14,000~16,000원 수준
3. 완속 충전 요금은 보통 kWh당 100~200원
- 완속 충전은 6~8시간 정도 걸리지만,
요금은 훨씬 저렴해서 집이나 직장에서 선호됩니다 - 공공 완속 충전기 기준으로는 kWh당 170원 내외
- 아파트 공동 충전기, 가정용 벽걸이 충전기 등은 더 싸기도 해요
예시 (60kWh 배터리 기준)
- 80% 충전 시 약 48kWh → 약 6,000~8,000원 수준
4. 완속 vs 급속 충전요금 비교 요약
항목완속 충전급속 충전
평균 요금 (kWh당) | 100~200원 | 280~350원 |
60kWh 차량 80% 충전 | 약 6,000~8,000원 | 약 14,000~16,000원 |
장점 | 저렴함, 배터리 수명 유리 | 빠름, 응급 충전 가능 |
단점 | 시간 오래 걸림 | 비용 비쌈, 대기 발생 가능 |
5. 충전요금은 운영사에 따라 차이도 큽니다
- 환경부(한국자동차환경협회), 한국전력, E1모빌리티, 테슬라 등
운영사마다 요금 단가가 다르고, 일부는 충전 카드 필요해요 - 앱마다 가격이 명시돼 있으니, 이용 전 앱 설치 후 가격 확인하는 습관이 좋습니다
팁:
환경부 급속충전기 요금이 비교적 저렴한 편입니다.
→ 전국 공공충전기에서 많이 보이는 회색 기기
마무리 정리
전기차 충전요금은 급속은 빠르고 비싸고,
완속은 느리지만 저렴하다,
이렇게 기억하시면 기본은 잡힌 거예요.
집이나 직장에서 완속 위주로 충전하고,
급속은 여행 중이나 급할 때만 쓰는 게 가장 효율적입니다.
요점 정리
- 충전은 kWh 단위로 계산
- 완속: 100~200원/kWh, 1회 충전 6천8천 원
- 급속: 280~350원/kWh, 1회 충전 1.4만1.6만 원
- 운영사 따라 요금 다르고, 충전카드 할인도 있음
- 일상은 완속, 급한 상황엔 급속 활용 추천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고차 침수차 확인하는 5가지 방법 (0) | 2025.04.28 |
---|---|
경차 연비는 얼마나 좋을까? 실제 운전자가 느끼는 경제성 (1) | 2025.04.28 |
음주운전 면허 정지·취소 기간과 복구 절차 총정리 (0) | 2025.04.28 |
차량 진동, 연비 떨어뜨리고 고장까지 부를 수 있습니다 (0) | 2025.04.27 |
차량 탁송 비용, 거리마다 얼마나 나올까요? (0) | 2025.04.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