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전면허 갱신, 언제 해야 할까요?
운전면허는 유효기간이 정해져 있어서
정해진 시기에 갱신하지 않으면 효력이 정지되거나 벌금까지 나올 수 있어요.
그런데 갱신 주기가 사람마다 다르다는 점, 알고 계셨나요?
이번 글에서는 운전면허 갱신 주기와 대상자별 차이점을
한눈에 보기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일반 운전자의 면허 갱신 주기 (만 65세 미만 기준)
면허 종류갱신 주기
1종 보통·대형·특수 | 10년마다 갱신 |
2종 보통 | 10년마다 갱신 |
- 만 65세 미만 일반 운전자는 10년마다 한 번 갱신하면 됩니다
- 적성검사 대신 일반 갱신 절차로 간단하게 끝나요
2. 만 65세 이상 고령 운전자의 경우
연령갱신 주기
만 65세 이상 | 5년마다 갱신 |
만 75세 이상 | 3년마다 갱신 + 교통안전교육 필수 |
- 고령자일수록 갱신 주기가 짧아지고, 교육 의무도 생깁니다
- 특히 만 75세 이상은 교통안전교육을 꼭 들어야 면허 갱신이 가능해요
3. 군 복무 중 면허 소지자
- 군인도 면허는 갱신해야 하느냐?
대부분은 복무 중 유효기간이 지나도 면제나 유예가 적용됩니다 - 하지만 제대 후에는 바로 갱신 시기 확인하고 절차 진행해야 불이익이 없습니다
4. 신규 취득자(처음 면허 따신 분)
- 최근에 면허를 따셨다면?
발급일로부터 10년 이내에 첫 갱신을 하면 됩니다 - 예를 들어 2023년에 면허를 처음 땄다면,
→ 2033년까지는 별도 갱신 없이 사용 가능해요
5. 갱신 시기 알림은 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 도로교통공단에서 갱신 시기 도래 전에 문자나 우편으로 안내를 보내줍니다
- 단, 주소 변경이나 연락처 업데이트가 안 돼 있으면 못 받을 수 있어요
- 안전운전통합민원 사이트에서
직접 본인 면허 상태와 유효기간 확인 가능해요
마무리 정리
운전면허 갱신은 대상자별로 주기가 다르기 때문에,
한 번쯤 내 갱신 시기를 확인해두는 게 가장 안전합니다.
특히 65세 이상이신 부모님이나 가족이 계시다면
정기적으로 알려드리는 것도 좋은 방법이에요.
요점 정리
- 만 65세 미만: 10년마다 갱신
- 만 65세 이상: 5년마다
- 만 75세 이상: 3년마다 + 교통안전교육 필수
- 군인: 복무 중 유예, 전역 후 확인 필수
- 갱신 안내는 문자/우편/안전운전 통합민원으로 확인 가능
'자동차에 대한 궁금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벌점 vs 적성검사, 완전히 다른 개념입니다 (0) | 2025.05.18 |
---|---|
운전면허 갱신, 온라인으로도 됩니다 (일부 조건에 한해) (0) | 2025.05.18 |
운전면허 갱신, 어렵지 않아요 (0) | 2025.05.18 |
전기차 충전비, 휘발유보다 진짜 싸요? (0) | 2025.05.18 |
하이브리드 차량, 보험료 더 비쌀까요? (1) | 2025.05.1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