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수소 엔진은 어떻게 작동할까? 수소 자동차의 원리와 장점

물질 2025. 3. 28.

수소(H₂)는 미래 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다. 하지만 수소차라고 하면 대부분 **수소전기차(연료전지차, FCEV)**만 떠올린다.

그런데 요즘 자동차 업계에서는 **‘수소 엔진’**이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수소 엔진이란 무엇이며, 기존 수소전기차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그리고 정말 기존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 있을까?

이제 하나씩 살펴보자.


1. 수소 엔진 vs. 수소전기차 – 뭐가 다를까?

수소 엔진(Hydrogen Engine)

  • 일반 내연기관(휘발유·디젤 엔진)처럼 연소 방식으로 동작한다.
  • 엔진 내부에서 수소를 연소시켜 동력을 만든다.
  • 배출가스가 거의 없고, 기존 내연기관과 유사한 구조를 가진다.

수소전기차(Fuel Cell Electric Vehicle, FCEV)

  • 연료전지를 사용해 수소와 산소를 반응시켜 전기를 만든다.
  • 이 전기로 모터를 구동하는 방식이다.
  • 내연기관이 아니라 전기차와 비슷한 구조를 갖는다.

즉, 수소전기차는 전기를 만들어 쓰는 방식이고, 수소 엔진은 연료를 직접 태워 동력을 만드는 방식이다.


2. 수소 엔진의 작동 원리

수소 엔진은 기존의 가솔린 엔진과 구조가 거의 비슷하다. 단지 연료가 가솔린이 아니라 수소라는 점이 다를 뿐이다.

연료 분사 및 점화

  • 엔진 내부에서 압축된 수소를 분사하고,
  • 스파크 플러그가 불꽃을 튀겨 수소를 연소시킨다.

동력 생성

  • 연소 과정에서 폭발이 일어나고,
  • 이 힘으로 피스톤이 움직이며 엔진이 회전한다.

배출물은 물과 소량의 NOₓ

  • 휘발유·디젤 엔진과 달리 이산화탄소(CO₂)는 전혀 배출되지 않는다.
  • 다만, 공기 중의 질소와 반응하여 **미량의 질소산화물(NOₓ)**이 생성될 수 있다.

즉, 기존 내연기관을 거의 그대로 활용하면서도 탄소 배출이 없는 친환경 엔진이라고 볼 수 있다.


3. 수소 엔진의 장점

수소 엔진이 주목받는 이유는 기존 자동차 산업이 빠르게 전동화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내연기관 기술을 유지하면서 친환경으로 전환할 수 있기 때문이다.

1) 기존 내연기관 기술을 활용 가능

  • 수소 엔진은 가솔린 엔진과 구조가 거의 같다.
  •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기존 엔진 기술을 버리지 않고 활용할 수 있다.
  • 특히, 기존 내연기관 차량을 개조해 수소차로 만들 수 있다.

2) 빠른 연료 충전 시간

  • 전기차 충전은 시간이 오래 걸리지만,
  • 수소 엔진은 기존 주유소처럼 5분 이내로 충전이 가능하다.

3) 내연기관의 주행감 유지

  • 전기차는 조용하지만, 운전 재미가 덜하다고 느끼는 운전자도 있다.
  • 수소 엔진은 기존 내연기관과 유사한 엔진 소리와 반응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4) 무거운 배터리 없이 장거리 운행 가능

  • 전기차는 배터리가 크고 무거워서 장거리 주행에 한계가 있다.
  • 하지만 수소 엔진은 배터리가 필요 없기 때문에 차량 무게를 줄일 수 있다.

4. 수소 엔진의 단점

하지만 수소 엔진이 아직 대중화되지 못한 이유도 있다.

1) 연료 효율성이 낮다

  • 수소 엔진은 연소 과정에서 열 손실이 크다.
  • 같은 양의 수소를 사용했을 때, 수소전기차(FCEV)가 더 높은 연비를 보인다.

2) 질소산화물(NOx) 배출 문제

  • 수소 엔진은 이산화탄소는 배출하지 않지만,
  • 공기 중의 질소와 반응해 **소량의 질소산화물(NOx)**이 발생할 수 있다.

3) 충전 인프라 부족

  • 수소전기차와 마찬가지로 수소 충전소가 부족하다는 것이 큰 문제다.
  • 기존 주유소를 수소 충전소로 전환하는 정책이 필요하다.

5. 수소 엔진, 미래에는 가능할까?

현재 도요타(Toyota), BMW, 현대자동차 같은 글로벌 자동차 제조사들이 수소 엔진 기술을 개발 중이다.

도요타(Toyota)

  • 2023년, 수소 엔진을 탑재한 레이싱카 **"GR 코롤라 H2"**를 공개했다.
  • 내구성 테스트를 계속 진행 중이다.

BMW

  • 2030년까지 수소 엔진을 활용한 모델 개발을 계획하고 있다.

현대자동차

  • 이미 수소전기차(FCEV)를 생산하고 있으며,
  • 장기적으로 수소 엔진 개발도 고려하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전기차와 수소차가 공존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보고 있다.


마무리

수소 엔진은 기존 내연기관을 대체할 수 있는 친환경 기술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다.

수소를 직접 태워서 동력을 만든다.
이산화탄소 배출 없이 내연기관의 주행감을 유지할 수 있다.
연료 충전 시간이 빠르고, 장거리 운행이 가능하다.
하지만 연료 효율이 낮고, 충전 인프라가 부족하다는 단점이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