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이클라이트(Bakelite) vs. 다른 플라스틱 – 뭐가 다를까?
베이클라이트(Bakelite)는 최초의 합성 플라스틱으로,
한때 전기·전자 제품, 자동차 부품, 주방용품 등에 널리 사용되었다.
그런데 지금은 베이클라이트보다 더 성능이 좋은 플라스틱이 많다.
그렇다면 베이클라이트는 다른 플라스틱과 어떻게 다를까?
오늘은 베이클라이트와 다른 플라스틱(ABS, 나일론, PVC, 실리콘)과 비교하면서
각 소재의 특징과 차이를 정리해보겠다.
1. 베이클라이트 vs. ABS – 전자기기 케이스 비교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는
지금 전자기기, 가전제품 케이스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이다.
내열성 | 매우 강함 (열경화성) | 중간 수준 (100℃ 이상에서 변형) |
충격 강도 | 단단하지만 깨질 수 있음 | 유연해서 충격에 강함 |
전기 절연성 | 매우 우수 | 기본적으로 절연성이 있음 |
가공성 | 한 번 굳으면 가공이 어려움 | 성형이 쉽고 다양한 모양 가능 |
사용처 | 복고풍 전자기기, 스위치 | TV, 컴퓨터, 가전제품 케이스 |
차이점
- 베이클라이트는 내열성이 뛰어나지만 깨지기 쉬움
- ABS는 충격에 강하고 가공이 쉬워 현대 전자기기에서 더 많이 사용됨
결론: 예전에는 베이클라이트가 전자기기 케이스로 많이 쓰였지만,
지금은 가공이 쉽고 충격에 강한 ABS가 대체하고 있다.
2. 베이클라이트 vs. 나일론 – 기계 부품 비교
**나일론(Nylon)**은 강하고 내마모성이 뛰어난 플라스틱으로,
기어, 베어링, 자동차 부품 등에서 많이 사용된다.
강도 |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움 | 유연하면서도 강도가 높음 |
내마모성 | 중간 수준 | 매우 뛰어남 |
내열성 | 고온에서도 변형 없음 | 100~150℃에서 변형 가능 |
흡습성 | 거의 없음 | 습기를 흡수할 수 있음 |
사용처 | 전기 부품, 기계 부품 | 기어, 베어링, 자동차 부품 |
차이점
- 베이클라이트는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워 마찰이 많은 부품에는 적합하지 않음
- 나일론은 내마모성이 뛰어나 기어, 베어링 같은 부품으로 많이 사용됨
결론: 기계 부품에서는 내마모성이 뛰어난 나일론이 베이클라이트보다 더 적합하다.
3. 베이클라이트 vs. PVC – 전선 피복 비교
**PVC(Polyvinyl Chloride)**는
전선 피복, 배관, 바닥재 등에 사용되는 플라스틱이다.
전기 절연성 | 매우 뛰어남 | 우수함 |
내화학성 | 강한 화학물질에도 강함 | 산·염기에 강하지만 열에는 약함 |
유연성 | 단단하고 깨지기 쉬움 | 매우 유연함 |
내열성 | 200℃ 이상에서도 변형 없음 | 80℃ 이상에서 변형 가능 |
사용처 | 전기 스위치, 콘센트 | 전선 피복, 배관, 바닥재 |
차이점
- 베이클라이트는 내열성이 뛰어나지만 깨지기 쉬움
- PVC는 유연하고 전기 절연성이 우수해 전선 피복으로 많이 사용됨
결론: 전기 절연성이 중요한 제품 중 열을 많이 받는 부품(스위치, 플러그)에는 베이클라이트,
전선 피복처럼 유연성이 필요한 제품에는 PVC가 더 적합하다.
4. 베이클라이트 vs. 실리콘 – 주방용품 비교
**실리콘(Silicone)**은 고온에서도 변형되지 않는 소재로,
주방용품, 의료기기 등에 많이 사용된다.
내열성 | 매우 뛰어남 | 매우 뛰어남 (최대 250℃) |
유연성 | 단단하고 깨지기 쉬움 | 매우 유연함 |
화학적 안정성 | 강한 화학물질에도 견딤 | 매우 안정적 |
내구성 | 금이 가거나 깨질 수 있음 | 변형 없이 오랫동안 사용 가능 |
사용처 | 냄비 손잡이, 오븐 도어 | 실리콘 주방 매트, 실리콘 수저 |
차이점
- 베이클라이트는 단단하지만 깨질 수 있음
- 실리콘은 유연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라 주방용품으로 적합
결론: 주방에서 열을 견디는 소재로는 실리콘이 베이클라이트보다 더 적합하다.
베이클라이트 vs. 다른 플라스틱 비교 정리
ABS | 전자기기 케이스 | 내열성이 뛰어남 | ABS보다 충격에 약함 |
나일론 | 기계 부품 | 강도는 강하지만 단단함 | 나일론보다 마모에 약함 |
PVC | 전선 피복 | 전기 절연성이 우수함 | PVC보다 유연성이 낮음 |
실리콘 | 주방용품 | 내열성이 뛰어남 | 실리콘보다 깨지기 쉬움 |
베이클라이트는 내열성과 전기 절연성이 뛰어나지만,
가공이 어렵고 깨질 수 있다는 단점 때문에 지금은 다양한 플라스틱이 대체하고 있다.
베이클라이트는 어디에 여전히 쓰일까?
지금은 대부분의 플라스틱 제품이 ABS, 나일론, PVC, 실리콘 등으로 바뀌었지만,
베이클라이트가 여전히 쓰이는 분야도 있다.
- 복고풍 제품 → 클래식 라디오, 전화기, 카메라
- 전기 절연 부품 → 스위치, 플러그, 콘센트
- 특수 내열 부품 → 일부 주방기구 손잡이, 산업용 기계 부품
즉, 베이클라이트는 더 나은 플라스틱이 많아졌지만,
특정한 용도에서는 여전히 가치를 인정받는 소재다.
앞으로 옛날 전화기나 클래식 제품을 볼 때,
"이거 베이클라이트일까?" 하고 한 번쯤 생각해보는 것도 재미있을 것이다.
'화학물질의 흐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스타글란딘이 하는 일: 통증부터 혈압 조절까지 (0) | 2025.03.20 |
---|---|
PEEK(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의 가격과 경제성 – 비싼 이유와 활용 가치 (0) | 2025.03.19 |
폴리락트산(PLA) 재활용 및 환경 영향 – 정말 친환경 플라스틱일까? (0) | 2025.03.19 |
폴리락트산(PLA) 합성 방법 – 어떻게 만들까? (0) | 2025.03.19 |
EPDM vs 다른 고무, 뭐가 다를까? 특성과 차이점 비교 (0) | 2025.03.1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