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규소는 자연에 어떻게 존재할까?

물질 2025. 4. 30.

규소(Silicon)는 반도체 재료로 많이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우리 일상과 아주 가까운 곳에도 널리 퍼져 있는 자연 속 원소입니다.

그런데 궁금하시죠?
‘규소는 어디서 오는 걸까? 모래 속에 있다는 건 또 무슨 말이지?’

이번 글에서는 규소가 자연계에서 어떤 형태로 존재하고, 어디에 들어 있는지
쉽게 정리해드릴게요.


1. 지구 지각에서 두 번째로 많은 원소입니다

  • 규소는 지구 지각(땅을 구성하는 층) 속에 약 28% 정도 존재합니다.
  • 산소(약 46%) 다음으로 많고, 알루미늄, 철보다도 훨씬 풍부해요.
  • 우리가 밟고 있는 흙, 모래, 돌 속에는 거의 항상 규소가 들어 있습니다.

2. 자연 상태에서는 ‘화합물’로 존재합니다

  • 규소는 단독으로는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대신 산소랑 결합해서 SiO₂(이산화규소) 형태로 자연계에 나타납니다.
  • 대표적인 규소 화합물:
    • 모래: 대부분이 이산화규소
    • 석영(Quartz): 수정처럼 생긴 결정체, SiO₂의 결정형
    • 암석(화강암, 현무암 등): 규소 화합물이 많이 포함되어 있음

3. 식물과 동물 속에도 소량 들어 있습니다

  • 규소는 식물의 줄기나 껍질에 미량 포함되어 있어
    조직을 단단하게 유지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특히 벼, 대나무, 사탕수수, 말꼬리풀(허벌 실리카) 같은 식물에 많고,
    건강보조식품 원료로 사용되기도 해요.
  • 동물이나 사람의 몸에도 소량 존재하며,
    피부, 머리카락, 뼈, 손톱, 결합조직 등에 관여합니다.

4. 물속에도 존재합니다

  • 지하수, 온천수, 바닷물 속에도 **미량의 규소 성분(실리카 형태)**이 녹아 있습니다.
  • 일부 지역에서는 실리카가 풍부한 광천수로 마케팅되기도 하죠.
  • 이 물을 활용한 화장품이나 미네랄워터도 요즘 꽤 많습니다.

5. 순수한 규소는 인공적으로 만듭니다

  • 자연에서는 ‘순수한 규소(Si)’ 형태는 거의 발견되지 않습니다.
  • 그래서 반도체나 태양광 패널에 쓰이는 고순도 규소는
    대부분 모래(이산화규소)를 정제해서 인공적으로 만들어냅니다.
  • 이 과정을 거쳐야 전기를 잘 제어할 수 있는 반도체용 실리콘 웨이퍼가 만들어지죠.

마무리하며

규소는 눈에 잘 띄진 않지만,
흙, 돌, 식물, 심지어 물과 생물 속에도 들어 있는 아주 익숙한 원소입니다.

그 자체로는 보기 어렵지만,
화합물 형태로 자연계에 널리 퍼져 있으며,
산업과 건강, 환경까지 두루 영향을 미치고 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