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저마늄은 어디에 쓰일까? 반도체부터 광섬유까지 산업 활용 총정리

물질 2025. 5. 2.

저마늄이라고 하면 대부분
“건강기능식품?” “팔찌나 온열매트에 들어가는 거 아니야?”
이렇게 생각하시는데요,

사실 저마늄은 건강보조보다는 산업에서 훨씬 더 활약하는 금속입니다.
특히 반도체, 통신, 적외선 센서, 태양전지
우리가 잘 모르는 곳에서 꼭 필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저마늄이 실제로 어디에 어떻게 사용되는지
가장 많이 쓰이는 분야를 중심으로 정리해드릴게요.


1. 반도체 재료 – 실리콘과 짝을 이루는 금속

저마늄은 역사적으로 초기 트랜지스터에 사용된 반도체 재료였습니다.
지금은 실리콘이 주류지만, 여전히 특수 목적 반도체에는 저마늄이 쓰입니다.

  • 실리콘-저마늄(SiGe) 반도체
    고속·고주파 처리가 가능해 통신 기기나 위성에 탑재되기도 하고,
    고성능 아날로그 회로나 이미지 센서에도 활용돼요.
  • 특히 전자 이동 속도가 빠른 점이 강점이죠.
    그래서 RF칩, 센서, 고주파 필터 등에 사용되고 있어요.

2. 광섬유 – 신호 손실을 줄이는 핵심 소재

저마늄은 광섬유 통신 기술에서도 꽤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광섬유 안에서 빛이 잘 휘도록 굴절률을 조절해야 하는데,
    그때 유리(실리카)에 저마늄을 섞어 굴절률을 높이는 방식으로 사용돼요.
  • 이걸 **저마늄 도핑(Ge-doping)**이라고 부릅니다.

활용 예시

  • 인터넷망, 해저 광케이블, 데이터 센터용 광통신 장비
  • 고속 데이터 전송, 신호 안정성 확보에 필수

요즘처럼 데이터가 쏟아지는 시대에
고속·대용량 광통신을 가능하게 해주는 소재 중 하나가 바로 저마늄이에요.


3. 적외선 센서 및 열화상 카메라

저마늄은 적외선(IR) 영역의 빛을 아주 잘 통과시키는 성질이 있어서
적외선 센서나 열화상 카메라용 렌즈 재료로도 많이 사용돼요.

  • 열화상 카메라 렌즈: 군사용, 의료용, 화재 구조용 장비
  • 야간 투시경, 보안 감시 장비, 자동차 적외선 센서
  • 비접촉 온도 측정기, CO₂ 감지 센서

특히 저마늄은 가시광선은 거의 차단하고,
적외선만 잘 통과시키는 특성
이 있어서
‘투명한 금속’처럼 작동하는 소재라고 볼 수 있어요.


4. 태양광 발전 – 고효율 태양전지용 기판

저마늄은 위성용 태양전지나 군사용 태양광 시스템에서도 활약합니다.
일반 실리콘 태양전지보다 훨씬 비싸지만, 효율이 높고 내구성이 뛰어나죠.

  • **다중접합 태양전지(Multi-junction solar cell)**의
    **기판(base layer)**로 저마늄 웨이퍼가 사용돼요.
  • 실리콘보다 열과 방사선에 강해서
    위성, 우주선, 드론 등 극한 환경에 적합

고급 산업에서는 ‘작고 가벼우면서 오래 가는’ 고효율 전지가 필요한데,
그 밑바닥을 받쳐주는 역할을 저마늄이 해주고 있는 거예요.


5. 형광체, 정밀 유리, 촉매 등 다양한 소재 분야

그 외에도 저마늄은 다음과 같은 특수 소재로도 쓰입니다:

  • 형광체 및 전자재료: LED나 발광소자에 혼합 사용
  • 정밀 광학 유리: 카메라 렌즈, 센서용 유리
  • 고체 연료 전지용 촉매
  • 전자기기의 정밀 증착 재료

고순도 저마늄은 나노소재나 박막 코팅 재료로도 연구되고 있고,
점점 활용 범위가 더 넓어지고 있는 중이에요.


마무리 정리

저마늄은 겉으론 평범하고 잘 안 보이지만,
첨단 기술의 핵심 부품 안에 깊숙이 들어 있는 원소입니다.

정리하자면:

  • 반도체: 고속·고주파용 SiGe 칩
  • 광섬유: 신호 손실 줄이는 굴절률 조절제
  • 적외선 센서: 열화상 카메라, IR 감지기용 렌즈
  • 태양전지: 우주용 고효율 다중접합 전지 기판
  • 기타: 정밀 유리, LED 형광체, 전자재료 등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