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합성유 vs 일반유, 어떤 오일이 좋고 얼마나 자주 갈아야 할까?

물질 2025. 4. 21.

엔진오일을 교체하려고 정비소에 가면 꼭 듣게 되는 말이 있습니다.
“합성유로 하실 건가요, 일반유로 하실 건가요?”
막상 물어보면 "뭐가 얼마나 다른 건데요?"라는 생각부터 들죠.

이번 글에서는 합성유와 일반유의 차이, 교체 주기의 차이, 그리고
어떤 상황에 어떤 오일을 쓰는 게 좋은지 간단하게 정리해드릴게요.


1. 합성유와 일반유, 뭐가 다른가요?

  • **일반유(광유)**는 석유에서 정제한 기본 오일이에요.
    가성비는 좋지만 내열성, 점도 유지력, 슬러지 방지력은 다소 떨어집니다.
  • **합성유(100%)**는 인공적으로 정제해 만든 고급 오일로,
    엔진 보호력, 고온 안정성, 청정력이 뛰어납니다.

쉽게 말해, 일반유는 기본형, 합성유는 고급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2. 교체 주기는 어떻게 다를까?

  • 일반유: 보통 5,000km ~ 7,000km마다 교체 권장
  • 합성유: 보통 10,000km ~ 15,000km까지도 사용 가능

단, 아무리 합성유라도 오래 방치하면 시간으로는 6개월~1년 안에는 교체하는 게 좋습니다.
주행거리보다도 오일 상태와 운행 환경이 중요해요.


3. 어떤 상황에 어떤 오일이 어울릴까?

일반유가 괜찮은 경우

  • 도심 출퇴근만 짧게 한다
  • 주행거리 자체가 많지 않다
  • 비용을 최대한 줄이고 싶다
  • 5천km마다 정비소 가는 게 크게 불편하지 않다

합성유가 유리한 경우

  • 장거리 주행이 많고 고속도로를 자주 탄다
  • 차량 연식이 낮고 차를 오래 탈 계획이다
  • 엔진을 좀 더 잘 보호하고 싶다
  • 오일 교체 간격을 길게 가져가고 싶다

4. 가격 차이도 꽤 납니다

  • 일반유 교체: 보통 4만~7만 원대
  • 합성유 교체: 보통 10만~15만 원대

가격만 보면 일반유가 매력적이지만,
합성유는 교체 주기가 길고, 장기적으로 엔진 내구성을 더 잘 지켜준다는 장점이 있어요.
비용보다는 운행 습관과 차량 조건에 맞춰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5. 정리하면 이렇게 볼 수 있어요

항목일반유 (광유)합성유 (100%)
교체 주기 5,000~7,000km 10,000~15,000km
비용 낮음 높음
엔진 보호력 보통 우수
사용 추천 대상 단거리 주행 위주 장거리/고속주행 위주


결론: 무조건 고급보단, 내 운전 스타일에 맞는 오일을 선택하세요

엔진오일은 ‘좋은 게 무조건 정답’이 아닙니다.
내가 차를 얼마나, 어떻게 타느냐에 따라 어떤 오일이 맞는지가 달라지는 거예요.

짧게 자주 타는 분은 일반유도 충분하고,
차를 오래 끌고 고속도로 많이 탄다면 합성유가 더 나은 선택입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