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냉각수 교체 시기와 종류, 색깔 차이까지 한 번에 정리

물질 2025. 3. 31.

냉각수는 차 안에서 잘 보이지도 않고,
평소에 크게 신경 안 쓰는 부품 중 하나죠.
그런데 이게 문제 생기면 엔진이 과열되거나 심하면 차량 정지까지 갈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냉각수(부동액)를 언제 갈아야 하는지,
그리고 색깔에 따라 무슨 차이가 있는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1. 냉각수는 보통 2~4년 또는 4~6만 km 주기로 교체해요

  • 일반적으로 냉각수는 2~4년에 한 번, 또는 4~6만 km 주행마다 교체하는 걸 권장합니다.
  • 차량마다 ‘장수명 냉각수’(LLC)가 들어 있는 경우엔 8~10만 km까지 가능하다고도 하지만,
    실사용 환경(짧은 거리, 정체 잦은 도심 주행 등)을 고려하면
    조금 일찍 갈아주는 게 안전합니다.

2. 색깔별 냉각수 종류는 성분 차이 때문이에요

냉각수 색깔은 단순한 디자인이 아니라, 내부 성분과 제조 방식 차이를 보여주는 거예요.

색상종류특징
녹색 일반 IAT 냉각수 가장 흔한 타입, 2~3년 주기로 교체 필요
분홍/빨강 OAT 냉각수 유기산 기반, 장수명(5년 이상), 부식 방지 뛰어남
파랑/노랑 HOAT 냉각수 혼합형, 국산차·수입차에 다양하게 사용됨

※ 색은 브랜드마다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같은 색이더라도 섞어 쓰면 안 됩니다.


3. 교체 시기를 놓치면 생기는 문제들

  • 엔진 과열: 냉각수가 제 역할을 못 하면 엔진 온도가 과하게 올라갑니다.
  • 워터펌프, 라디에이터 부식: 냉각수는 부식 방지 역할도 하기 때문에,
    오래되면 부품이 녹슬거나 막힐 수 있어요.
  • 끓어 넘침, 오버히트: 여름철 장거리 주행 시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습니다.

4. 냉각수 상태는 이렇게 확인할 수 있어요

  • 본넷을 열고 냉각수 리저버 탱크를 보면
    수위가 'LOW' 아래로 내려가거나 색이 탁한 갈색이면 교체 시기예요.
  • 원래 냉각수는 맑은 초록, 분홍, 파란색 등 투명한 색을 띱니다.
  • **이상한 냄새(쇠 비린내, 화학 냄새)**가 날 경우도 교체를 고려해야 합니다.

5. 냉각수는 섞어 쓰면 안 되는 이유

  • 성분이 다른 냉각수끼리 섞으면 화학 반응이 생길 수 있어요.
    슬러지(찌꺼기) 발생, 냉각 효율 저하
  • 색이 같더라도 제조 방식이 다르면 문제될 수 있으니
    기존에 쓰던 냉각수와 동일한 규격 제품을 사용하는 게 안전합니다.

정리하면 이렇게 기억하세요

항목권장 기준 또는 주의사항
교체 주기 2~4년 또는 4~6만 km (장수명은 8~10만 km)
색상별 종류 녹색: 일반 / 분홍: OAT / 파랑: HOAT
교체 필요 신호 수위 감소, 색 변화, 냄새, 냉각 성능 저하 등
섞어 쓰기 여부 X (색 같아도 성분 다르면 섞으면 안 됨)
점검 타이밍 오일류 교체할 때 함께 점검하면 효율적임

마무리: 냉각수는 '엔진 체온조절제'입니다

엔진이 과열되면 차가 멈추고, 심하면 수리비가 수십만 원까지도 올라가요.
하지만 냉각수 교체는 비교적 저렴하고 예방 효과는 확실하죠.

오일류만큼이나 중요한 소모품, 냉각수도 주기적으로 꼭 챙겨보시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