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콜, 안 받아도 괜찮을까요?

물질 2025. 5. 16.

리콜 안내 문자나 우편 받았는데,
“차 멀쩡한데 굳이 가야 하나?”
“시간 없으니까 그냥 타고 다니면 안 될까?”
이런 생각 한 번쯤 하셨을 거예요.

하지만 리콜은 단순한 옵션 변경이 아니라
안전이나 기능에 치명적인 문제가 될 수 있는 ‘결함’에 대한 조치입니다.
미루면 미룰수록 불이익이 쌓일 수 있어요.


리콜 안 받았을 때 생길 수 있는 주요 문제 5가지

1. 사고 위험이 커집니다

  • 리콜은 대부분 브레이크, 에어백, 엔진, 전자장치 같은 핵심 부위 결함 때문입니다
  • 겉으론 멀쩡해 보여도, 주행 중 시동 꺼짐, 에어백 미작동, 제동 불능 같은 위험한 상황이
    예고 없이 발생할 수 있어요

팁:
특히 어린 자녀를 태우는 패밀리카, 장거리 운전이 많은 차량은
리콜 미수리가 훨씬 더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2. 자동차 검사에서 지적받을 수 있어요

  • 의무 리콜 조치가 완료되지 않은 차량
    정기검사 시 ‘리콜 미이행’으로 불합격 처리될 수 있습니다
  • 2023년부터는 리콜 미이행 정보가 교통안전공단 시스템에도 공유돼서
    검사소에서도 바로 확인 가능합니다

3. 차량 사고 시 보험 불이익 우려

  • 리콜 대상 차량으로 사고가 났을 경우,
    보험사에서 과실을 일부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브레이크 결함 리콜을 안 받았기 때문에, 사고 책임 일부 있음” 같은 식이죠

4. 중고차 판매 시 감가 요인 됩니다

  • 중고차 시장에서는 차량 이력 조회 시 ‘리콜 이행 여부’도 확인 가능합니다
  • 리콜을 받지 않은 차량은 신뢰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거나, 가격 협상에서 불리할 수 있어요
  • 요즘은 리콜이 정비이력에 자동으로 남기 때문에 숨기기도 어렵습니다

5. 특정 경우에는 과태료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일반적인 리콜은 강제성이 없지만,
    ‘강제 리콜’로 분류된 경우에는 정부가 정해진 기간 내 조치를 명령합니다
  • 이걸 무시할 경우, 도로교통법이나 자동차관리법 위반으로 과태료 부과될 수 있어요

리콜 미이행이 불안하다면? 확인하는 법 간단합니다

  • 국토부 자동차리콜센터 www.car.go.kr
  • 스마트폰 앱 ‘자동차365’
  • 차량 브랜드 공식 고객센터
    차대번호나 차량번호로 바로 조회 가능

마무리 정리

리콜은 “시간 되면 언젠가…” 하는 일이 아니라
**안전을 위한 ‘지금 당장 해야 하는 조치’**입니다.
무료이고, 예약만 하면 금방 끝나는 작업인데도 미루다가
사고 나거나 손해 보는 경우도 실제로 꽤 있어요.

요점 정리

  • 리콜 미이행 시 사고 위험 증가
  • 자동차 검사 불합격 가능
  • 보험·중고차 거래 시 불이익
  • 강제 리콜의 경우 과태료 부과 가능
  • 확인은 무료, 수리도 무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