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기차 충전카드, 할인 혜택 어떤 게 있나요?

물질 2025. 5. 17.

충전요금 아끼는 방법은 생각보다 간단해요.
충전카드 + 신용카드 혜택 조합만 잘 챙기면
급속도 저렴하게, 완속은 거의 공짜처럼 쓸 수도 있습니다.

오늘은 전기차 오너들이 자주 쓰는
충전 할인카드, 멤버십, 통신사 혜택까지 싹 정리해드릴게요.


1. 환경부(카엔) 충전카드 – 전국 공공 충전소용

  •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공공 급속충전소 전용 카드예요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이나 EV Infra 앱에서 신청 가능
  • 카드 발급 후 등록하면 전국 대부분 공공충전소에서 사용 가능

혜택

  • 민간보다 기본 요금이 저렴함
  • 따로 할인은 없지만, 기본 단가 자체가 착함 (kWh당 약 290원 수준)
  • 연회비 없음, 별도 수수료 없음

2. 민간 충전사별 전용카드 (E1, 차지비, 지엔텔 등)

각 충전업체마다 자체 충전카드를 발급하고
할인 요금제 또는 포인트 적립제를 운영합니다.

예시)
E1모빌리티 카드

  • 기본요금보다 5~10% 할인
  • 자사 앱에서 충전 + 결제 연동
  • 월 구간별 정액 요금제 선택 가능

차지비 카드

  • 월 정액제 (예: 월 3만 원 → 10만 원치 충전 가능) 같은 요금제 운영
  • 무제한 요금제는 없지만, 단가 자체가 낮아지는 구조

지엔텔(GS) 카드

  • 멤버십 포인트 충전 가능
  • 실적에 따라 캐시백 제공


충전 많이 하시는 분은 정액제 요금제 + 충전카드 연계가 확실히 유리합니다.


3. 신용카드 제휴 할인도 꼭 챙기세요

전기차 충전 특화 혜택을 제공하는 신용카드들이 꽤 많습니다.
주유 할인 대신 충전 할인으로 바뀐 셈이죠.

대표 카드 예시

카드혜택 내용
현대카드 그린 환경부 충전소 월 최대 1만 원 할인
삼성 iD EV 카드 월 최대 1.5만 원 충전 할인 (환경부, E1 등)
롯데 EV카드 충전소 요금 10% 할인 + 포인트 적립
하나 Charge EV 급속·완속 모두 할인 적용, 월 최대 2만 원 할인 가능


신용카드 충전 할인은 대부분 **월 한도(1만~2만 원)**가 있으니
한 달 충전 금액이 5만 원 이상 되면 꼭 챙기는 게 이득입니다.


4. 통신사 제휴 멤버십도 은근 쏠쏠해요

  • SKT, KT, LG U+ 같은 통신사들은
    자사 멤버십 앱이나 충전 앱과 연동해서 멤버십 할인 or 포인트 전환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예를 들어 SKT의 ‘T맵 EV’ 앱은
    SK멤버십 포인트를 충전요금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5. 지역별 충전 할인 or 주차 할인 연계도 있습니다

  • 일부 지자체에서는 전기차 충전요금 보조금을 따로 지원하거나
    공영주차장 내 충전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기도 합니다
  • 예: 서울 일부 구청, 인천 송도, 세종시 등

→ 차량 등록지 기준으로 한 번 확인해보면 의외로 괜찮은 혜택이 있을 수 있어요


마무리 정리

전기차 충전요금은 그냥 쓰면 그만큼 나가지만,
카드 하나 바꾸고 앱 하나 깔면 요금이 확 내려갑니다.
특히 월 충전비가 3~5만 원 이상 나오는 분들이라면
충전카드 + 제휴카드 + 정액 요금제 조합으로 연간 수십만 원 절약도 충분해요.

요점 정리

  • 환경부 카드: 요금 저렴, 기본 필수
  • 민간 충전카드: 정액제·포인트 활용 가능
  • 신용카드: EV 특화카드로 월 최대 1.5~2만 원 할인
  • 통신사: 멤버십 포인트 전환 활용
  • 지역 지원 정책도 확인 필수

댓글